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면무호흡증 증상, 진단, 치료

by The One Ring 2023. 4. 27.
728x90
반응형

수면 중 상기도의 반복적인 폐쇄로 인해 호흡이 멈추거나 감소하여 이로 인해 자주 깨는 증상이 발생하게 되는 수면 호흡 장애를 말한다.

정의 및 원인

수면 무호흡은 수면 중에 최소 10초 이상 호흡이 멈추는 경우로서, 숨을 쉬려는 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강 내 기도가 폐쇄되어 발생하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과 숨을 쉬려는 노력 자체가 일시적으로 정지를 보이는 중추성 수면 무호흡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저호흡증은 호흡이 완전히 정지하지는 않으나 호흡량이 반 이하로 감소하고 이로 인해 혈액 내 산소의 농도가 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진단 기준은 과도한 졸음증, 수면 중 숨 막힘, 수면 중 반복해서 깸, 수면 후에도 개운치 않음, 집중력 저하의 5가지 증상 중에서 2가지 이상이 있으면서 수면다원검사에서 수면호흡 장애를 보이는 경우인데 수면호흡 장애란 무호흡이나 저호흡이 시간당 5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수면 무호흡의 90%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다. 원인은 수면 중 상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원인은 수면 중에 상기도가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연구개와 목젖의 비후, 편도선과 혀의 비대 등에 의해 인두 기도가 좁아지게 되고, 호흡 시 공기가 인두기도를 넘어가기 힘들게 되기 때문에 숨을 들이쉴 때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의해 기도가 확장되어야 하는데 기도 확장근의 피로 등으로 인해 기도 확장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수면 무호흡이 일어나게 된다. 즉, 수면 무호흡은 인두기도가 좁아지면서 기도 확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 발생된다.

증상 및 검사

1) 수면 중 증상 : 가장 특징적이고 흔한 증상은 코골이다. 특히, 심한 코골이와 거친 숨소리가 동반되다 무호흡으로 조용해준 후 다시 시끄러운 소리와 함께 호흡이 시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수면 무호흡증의 진단에 도움이 되는 또 다른 중요한 증상은 무호흡이 직접 관찰되는 것이다. 또한 수면 중 호흡이 곤란함을 느끼고 각성반응을 보이기도 하는데, 어떤 경우에는 무호흡에 의한 각성반응이 지나쳐 불면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2) 주간 증상 :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사람들은 낮 시간에도 여러 가지 증상을 보일 수가 있다. 주간 기면과 피로감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주간 기면이란 낮 시간 동안 과도하게 졸음이 오는 것으로, 운전 중에 졸게 되어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고 심한 경우에는 식사 중이나 대화 중에도 졸게 된다. 피로감의 원인은 너무나 다양하고, 주간 기면도 여러 가지 수면장애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주간 기면의 가장 흔한 원인이 수면 무호흡증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주간기면이 있다면 수면 무호흡증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처음에는 병력으로 진단하게 되는데, 본인이나 가족들을 통해 증상을 듣고 진단할 수 있다. 주간에 얼마나 졸리는지에 대한 문진을 통해서도 코골이나 무호흡의 심한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신체검진으로 체중이나 BMI 지수를 측정하거나 외양 특히 얼굴과 목의 모양을 관찰하고 비강, 구강, 인두, 후두의 검진을 병행하여 주된 유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그다음 정확한 수면의 평가를 위해서는 수면 다원검사를 시행하게 된다. 자는 동안 피검자의 여러 가지 신체 변화를 측정하여 수면질환의 여부와 형태, 정도 등을 알아보는 검사이다. 수면 중 코와 입을 통한 공기의 출입, 뇌파, 안구 운동, 가슴과 복부의 호흡 운동, 혈중 산소포화도, 심전도, 근전도 등 7가지 검사를 동시에 시행합니다. 수면의 단계와 형태를 파악하고 공기의 출입을 직접 측정하여 무호흡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혈중 산소포화도의 변화를 감지하며, 그에 따른 근육의 움직이나 부정맥 등도 같이 판단할 수 있다.

치료와 병원추천

치료방법은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으로 나뉜다.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양압기를 사용하여 수면 중 공기를 지속적으로 기도로 공급해 인두부 연조직의 허탈을 방지하는 방법이 가장 대표적이다. 그 밖에 구강 내 장치를 통해 혀가 목뒤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옆으로 잠을 자도록 하거나 체중 감량, 금주, 금연 등을 통해 위험 인자를 줄이는 방법 등이 있다. (양압기 사용 외에는 실행이 어렵다고 본다.) 수술적인 치료 방법은 코골이의 원인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비강수술(비중격 만곡 및 하비갑개 비후에 대한 교정술), 설부 축소수술, 인두부 수술(편도 및 구인두의 점막을 절제하는 구개인두 성형술, 고주파 온열 구개술), 두경부 골격수술(이설근전진술과 설골근절개술, 양측 상악전진술) 등이 있다.

장기간 무호흡이 지속될 경우 고혈압, 부정맥, 허혈성 심장질환, 폐 질환, 좌심실부전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당뇨병이나 녹내장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발기부전 등의 성 관련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적절한 운동과 식이 요법을 통해 체중을 조절하고 금주 및 금연이 예방에 가장 중요하다.

진료과는 신경과, 이비인후과, 정신의학과이다. 코골이로 인한 무호흡이 많아 이비인후과 쪽에서 진료를 많이 받는 편이다. 수면다원검사를 받을 경우 뇌파 진단을 함께 하기 때문에 신경과와 이비인후과가 함께 있는 곳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댓글